비밀번호

베트남 몽정1 석탄화력발전소 준공 - 커뮤니티2 홈페이지 넷퓨

  • 맑음속초24.8맑음북춘천23.1맑음철원22.9맑음동두천23.0맑음파주21.7구름많음대관령18.6맑음춘천21.8맑음백령도23.6맑음북강릉23.7맑음강릉23.8구름조금동해24.8맑음서울25.3맑음인천26.3맑음원주23.2맑음울릉도23.9맑음수원25.8맑음영월24.8맑음충주23.8맑음서산25.7맑음울진24.0맑음청주25.2맑음대전25.9맑음추풍령22.6맑음안동22.1맑음상주23.0구름많음포항24.4구름조금군산25.9맑음대구24.8맑음전주26.7구름많음울산23.7맑음창원25.8맑음광주25.2구름조금부산25.5구름조금통영25.3구름조금목포26.6구름조금여수25.7맑음흑산도26.2구름조금완도27.4구름조금고창26.1구름조금순천21.2맑음홍성25.1맑음서청주23.8비제주25.3구름조금고산25.5구름많음성산25.5흐림서귀포25.6구름많음진주24.9맑음강화23.2맑음양평23.3맑음이천23.3맑음인제20.7맑음홍천20.2구름많음태백19.5맑음정선군19.9맑음제천23.1맑음보은23.8맑음천안24.5구름조금보령27.9구름조금부여25.1맑음금산25.0맑음세종25.3구름조금부안25.3구름조금임실23.6구름조금정읍26.3구름조금남원25.4구름조금장수22.5구름조금고창군25.1구름조금영광군25.7구름조금김해시25.2구름조금순창군26.4구름조금북창원25.9구름조금양산시25.7구름조금보성군27.2구름조금강진군27.3구름조금장흥27.0구름조금해남27.6구름조금고흥26.6구름많음의령군24.5맑음함양군22.3구름조금광양시25.9구름조금진도군26.8맑음봉화23.4맑음영주21.6맑음문경22.7맑음청송군24.8맑음영덕23.6맑음의성22.0맑음구미24.1맑음영천23.9구름조금경주시24.8맑음거창23.0맑음합천25.4구름조금밀양26.6구름조금산청22.9구름조금거제25.6구름조금남해24.9구름조금북부산26.3
  • 2025.07.11(금)

경제글로벌 경제 소식을 전합니다.

베트남 몽정1 석탄화력발전소 준공

현대건설이 지난 16일 베트남 북부 꽝닌성(Quang Ninh Province) 깜빠시(Cam Pha City) 몽정 지역(Mong Duong)에서 단일 순환유동층(CFBC : Circulating Fluidized Bed Combustion) 발전소로는 베트남 최대 규모인 몽정1 석탄화력발전소 준공식을 가졌다.


현지 발전소 대강당에서 진행된 준공식에는 황충하이(Hoang Trung Hai) 베트남 정부 경제담당 부수상과 응웬 반독(Nguyen Van Doc) 꽝닌성 공산당 서기장, 쭝꽝탄(Duong Quang Thanh) 베트남전력청 회장 등 현지 관계자를 비롯해 정수현 현대건설 사장, 에릭 시드윅(Eric Sidgwick) 아시아개발은행(ADB) 베트남 지사장 등 각계 인사 3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2.jpg

 

현대건설은 중국 업체와의 치열한 경쟁 끝에 2011년 9월 베트남 전력청(EVN)과 미화 약 14억 7천만 달러(원화 약 1조 7천억원) 규모의 몽정1 발전소 계약을 체결하고, 그 해 12월 바로 착공에 들어갔다.

지난해 9월 1호기 공사를 마무리한 데 이어, 12월 2일 2호기까지 성공적으로 완료하게 되어 1월 16일 준공식을 개최했다.

특히 몽정1 발전소는 베트남의 만성적인 전력 수급난 해소를 위해 베트남 정부가 전폭적으로 지원한 국책 프로젝트로, 공사비의 40%는 한국수출입은행(KEXIM)에서 나머지 60%는 아시아개발은행(ADB)이 조달한 양질의 공사로 꼽히고 있다.

몽정1 발전소에서는 향후 베트남 북부 지역의 510만여 주민이 1년간 사용할 수 있는 65억kWh에 달하는 전기를 생산해 베트남 북부지역 전력 수급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이번에 현대건설이 준공한 몽정1 발전소의 가장 큰 특징은 베트남전력청(EVN)에서 순환유동층보일러(CFBC)를 최초로 도입한 발전소라는 점이다.
 
베트남 북부는 무연탄 매장량은 풍부하지만 열량이 낮아 현재 석탄화력발전소의 주력을 이루고 있는 일반 미분탄 보일러의 연료로 사용하기는 어려운 단점이 있어 현대건설은 열량이 낮은 저열량 무연탄을 사용하면서도 열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진 순환유동층보일러를 적용했다.
 
순환유동층보일러는 공기와 석회석을 동시에 주입시켜 순환 연소시킴으로써 황산화물 등 오염물질 배출을 크게 줄이는 친환경 발전 설비로도 평가받고 있어 최근 환경 문제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몽정1 발전소에 대한 기대도 더욱 커질 것이다.
 
앞서 2001년 현대건설은 하노이 인근 팔라이에서 팔라이 석탄화력발전소 공사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는데, 당시에는 시공만 담당한 반면 이번 몽정1 발전소는 EPC(설계구매시공) 턴키 방식으로 처음부터 끝까지 모두 맡아 진행해 더 큰 의미가 있다.  
  
또한, 현대건설은 몽정1 발전소 건설에 안전관리에도 최선을 다해 무재해 2,282만 5,643시간을 달성해 베트남 정부 및 발주처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았다.
 
현대건설은 지난 1966년 메콩강 하류 캄란만 준설공사를 시작으로 베트남 건설시장에 진출한 이래 캄란 신도시, 팔라이 석탄화력발전소, 호치민 비텍스코 파이낸셜 68층 타워, 하동주거복합단지 등 20여 건의 공사를 완공하며 현지에서 위상을 높여가고 있다.
 
이번 몽정1 발전소를 성공적으로 준공함으로써 현대건설은 대표적인 전력 부족국가인 베트남에서 향후 추가 발주될 석탄화력발전소 공사 수주경쟁에서 보다 유리한 위치를 선점할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베트남뿐만 아니라 인도네시아, 필리핀, 인도 등 저열량 무연탄을 보유하고 있는 동남아시아 국가에서도 순환유동층 석탄화력발전소 공사 발주가 이어질 것으로 보여, 현대건설은 이 지역에서도 추가 수주를 기대하고 있다.

본 게시물은 커뮤니티2 홈페이지 데모페이지 입니다.
등록된 게시물은 테스트용이며 비회원이 복사한 자료일수도 있습니다.

전체댓글0

검색결과는 총 22건 입니다.    글쓰기
1 2

현재 보고계신 샘플 사이트는
넷퓨에서 제작한 사이트입니다.

홈페이지 기능 안내GO 넷퓨 홈페이지 GO

문의전화 : 1544 - 9638